Viral Mutation Analysis and Whole Genome Sequencing
호흡기 바이러스는 공기를 통해 빠르게 전파되는 특성상 높은 전염성을 띠며, 언제든 대규모 유행을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스페인 독감(1918년), 사스(2002년), 신종플루(2009년), COVID-19(2019년) 등 역사적으로 반복된 호흡기 바이러스 대유행은 이러한 바이러스가 공중보건에 미치는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바이러스는 전파 과정에서 변이를 일으켜 유행 양상이 급격히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병원체 검출을 넘어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여 변이를 탐지하고 확산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셀레믹스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솔루션을 개발하였으며, 국내외 다양한 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셀레믹스의 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Multiplex PCR과 Hybridization Capture 두 가지 기술로 제공 가능합니다. Multiplex PCR 기술은 바이러스의 유전체를 여러 개의 amplicon으로 나누어 증폭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한 실험 과정을 통해 TAT를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셀레믹스에서는 amplicon 설계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바이러스 서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바이러스의 기본형뿐만 아니라 변종에 대해서도 높은 검출율과 민감도를 확보할 수 있는 설계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변이가 발견되는 경우에도 이를 설계 프로세스에 반영, 유연하게 amplicon 디자인을 변경하여 키트의 증폭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Hybridization Capture 기술은 길이가 긴 probe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유전체 서열을 증폭하는 방식으로, PCR 프라이머에 비해 변이 발생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셀레믹스는 Hybridization Capture 방식에서도 다양한 변종 서열을 패널 디자인 단계에 반영하는 설계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어 변이 발생율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검출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관련 게시물] Target Capture – Multiplex PCR vs. Hybridization Capture (Learn More)
이러한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셀레믹스는 한국 질병관리청에 SARS-CoV-2와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의 전장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납품한 바 있습니다. 더불어, 바이러스 검체 실험에 최적화된 시약 세트와 PCR amplicon/Hybridization probe 설계 파이프라인, 전용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을 통해 위에 언급된 패널 외에도 고객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바이러스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