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s

Discover our Innovative Stories

Celemics Blog

Discover our Innovative Stories

Subscription Form KO

Celemics Influenza Virus Whole Genome Sequencing Service 호흡기 바이러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는 높은 돌연변이율을 보이며, 이를 통해 빠르게 새로운

Check Celemics’ Publications

생명체의 유전정보를 갖고 있는 게놈(Genome)은 A, T, G, C 염기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염기 서열의 조합 특성에 따라서 실험 및 분석 과정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아 분석과 시퀀싱(Sequencing)이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유전자 포획 패널 디자인 과정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데, 이러한 영역들을 hard-to-capture 영역이라고 부릅니다. Hard-to-capture 영역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반복 서열을 […]

차세대 시퀀싱 기술(Next-Generation Sequencing, NGS)이 상용화되면서 자성 비드(bead)를 이용한 DNA 정제는 생물학 관련 연구자들에게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자성 비드(Magnetid beads)를 이용한 DNA 정제(Purification)는 실험 과정의 단순함, 높은 재현성(Reproducibility) 및 강건성(Robustness),  쉬운 자동화 장비 적용, 효율적인 비용 등과 많은 장점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NGS를 사용하는 연구자들은 NGS library 제작 과정에서 자성 비드(Magnetid beads)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저희 […]

  암 환자의 진단, 예후 및 치료 계획 수립에 있어 종양 세포의 유전적 특징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종양 세포에 대해 가장 포괄적인 유전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법은 전장 유전체 시퀀싱(WGS) 및 엑솜 시퀀싱(WES)이지만, 그 대상 영역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시퀀싱 및 분석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비용 효율화를 위하여 최근 몇 년간 […]

엑솜(Exome)이란? 엑솜은 인간 게놈 중 단백질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유전자 영역 전체를 의미합니다. 엑솜은 인간 게놈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영역은 트랜스포존(transposon), 반복 서열 등의 non-coding DNA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on-coding DNA중 일부는 noncoding RNA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영역 등 기능이 알려진 경우도 존재하지만 아직 정확한 역할이 알려지지 않은 영역들이 많습니다. 이와 달리 엑솜은 각 […]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은 생물학(Biology)에 컴퓨터공학과 통계학을 접목하여 방대한 생명 정보를 분석하고 조직화하는 분야입니다. 생물정보학 기술을 통해 NGS 장비(NGS equipment)에서 생산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의 정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NGS 분석 파이프라인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1. Raw NGS data   NGS 장비에서 생산된 서열 정보는 일반적으로 FASTQ라는 파일 […]